임신부터 출산까지! 미혼모·한부모 가족을 위한 지원 혜택 총정리
안녕하세요!
오늘은 갑작스러운 임신으로 도움이 필요한 미혼모·부 및 한부모 가족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. 임신부터 출산까지 국가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많으니, 필요하신 분들은 꼭 챙겨 가세요!
📌 1.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(국민행복카드)
✔ 지원 대상
- 임신·출산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및 피부양자
- 2세 미만 영유아 (법정대리인 포함)
✔ 지원 내용
- 임신 관련 진료비 및 약제·치료재료 구입비를 지원
-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사용 가능
- 임신 1회당 100만 원 지원 (다태아 140만 원)
- 저소득층(취약계층) 임산부는 추가 지원 (20만 원 추가 지급)
- 카드 수령 후 분만예정일까지 사용 가능 (출산 후 2년까지 연장 가능)
✔ 청소년 산모 추가 지원
- 만 19세 이하 청소년 산모는 120만 원 추가 지원
- 신청 방법: 산부인과에서 임신 확인 후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 접속
📌 2. 산모 건강관리 지원
✔ 지원 대상
- 보건소에 등록한 임산부
✔ 지원 내용
- 산전 혈액 검사, 철분제·엽산제 지원, 표준모자보건수첩 제공
- 임산부 배려 엠블럼 제공
- 영양플러스 사업 등을 통해 건강 보호
✔ 신청 방법
- BC카드(☎1899-4651), 삼성카드(☎1566-3336), 롯데카드(☎1899-4282),
KB국민카드(☎1599-7900), 신한카드(☎1544-8868) - 건강보험공단(☎1577-1000) / 보건복지 상담센터 (☎129) / 복지로 누리집(www.bokjiro.go.kr)
📌 3.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
✔ 지원 대상
- 19대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 치료를 받은 임산부
- 임신주수 20주 이상 37주 미만
- 소득 기준(중위소득 180% 이하)에 따라 지원 가능
✔ 지원 내용
- 입원 치료비의 90% 지원 (본인 부담금 및 비급여 항목 포함)
✔ 신청 방법
- 보건소 or 공공보건포털
📌 4.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
✔ 지원 대상
- 출산 후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가정
✔ 지원 내용
- 건강관리사가 출산 가정을 방문하여 산후 관리 지원
- 산모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권 지급
✔ 신청 방법
- 보건소 방문 or 보건복지 상담센터(☎129) 문의
📌 5. 출산비용 지원
✔ 지원 대상
- 출산한 기초생활 생계·의료·주거급여 수급자, 긴급복지지원대상자, 등록 여성 장애인
✔ 지원 내용
- 출산비 지급
- 기초생활 수급자·긴급복지대상자: 아이 1인당 70만 원
- 등록 여성 장애인: 아이 1인당 100만 원
✔ 신청 방법
-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
📌 6. 생애 초기 건강관리사업
✔ 지원 대상
- 보건소 등록 임산부 및 2세 미만 영아 가정
✔ 지원 내용
- 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가 방문하여 건강 상담, 영아 발달 상담, 양육 교육 등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
- 산모 우울증 예방 및 심리·사회적 지원
✔ 신청 방법
-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
📌 7. 출산 지원시설 제공
✔ 지원 대상
- 이혼·사별 또는 미혼모·부 및 3세 미만 아동을 양육하는 한부모 가족
- 임신 및 출산 후 1년 이내 한부모(미혼 포함)
✔ 지원 내용
- 숙식 무료 제공, 분만 혜택, 자립 지원, 의료비 지원
- 시설 예시: 서울(구세군 두리홈, 애란원), 부산(성현원), 대구(가톨릭푸름터) 등
✔ 신청 방법
해당 시설 및 지자체,
📌 8. 첫만남이용권 (국민행복카드)
✔ 지원 대상
- 출생신고된 아동 (2024년 기준, 출생 후 2년 이내 신청 가능)
✔ 지원 내용
- 출생아 1인당 200만 원 지급 (둘째부터 300만 원 지급)
-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제공
- 2024년 출생아부터는 출생일로부터 2년까지 사용 가능
✔ 사용 가능 업종
- 유흥업소, 사행업, 레저업종, 면세점 등을 제외한 전 업종 사용 가능
✔ 신청 방법
-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or 보건소 방문 신청
임신과 출산은 많은 변화와 준비가 필요한 과정이지만, 정부 지원을 잘 활용하면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보다 건강하게 출산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.
임신·출산 지원 혜택 Q&A 총정리
📌 1.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(국민행복카드)
❓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✔ 임신·출산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및 피부양자
✔ 2세 미만 영유아 (법정대리인 포함)
❓ 어떤 혜택이 있나요?
✔ 임신 1회당 100만 원 (다태아 140만 원) 지원
✔ 저소득층 임산부 추가 20만 원 지원
✔ 진료비·약제·치료재료 구입비 사용 가능
❓ 청소년 산모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?
✔ 만 19세 이하 청소년 산모는 120만 원 추가 지원
❓ 어디서 신청하나요?
✔ 산부인과에서 임신 확인 후 국민행복카드 신청
✔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
📌 2. 산모 건강관리 지원
❓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✔ 보건소에 등록한 임산부
❓ 어떤 혜택이 있나요?
✔ 산전 혈액 검사, 철분제·엽산제 지원
✔ 임산부 배려 엠블럼 제공
✔ 영양플러스 사업 지원
❓ 어디서 신청하나요?
보건소 방문 or 보건복지 상담센터(☎129) 문의하기
📌 3.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
❓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✔ 19대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입원 치료받은 임산부
✔ 임신주수 20주 이상 37주 미만
❓ 어떤 혜택이 있나요?
✔ 입원 치료비 90% 지원 (본인 부담금 및 비급여 포함)
❓ 어디서 신청하나요?
✔ 보건소 or 공공보건포털
📌 4.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
❓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✔ 출산 후 중위소득 150% 이하 가정
❓ 어떤 혜택이 있나요?
✔ 건강관리사가 방문하여 산후 관리 지원
❓ 어디서 신청하나요?
✔ 보건소 방문 or 보건복지 상담센터(☎129) 문의
보건소 방문 or 보건복지 상담센터(☎129) 문의하기
📌 5. 출산비용 지원
❓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✔ 기초생활 수급자, 긴급복지지원대상자, 등록 여성 장애인
❓ 어떤 혜택이 있나요?
✔ 기초생활 수급자·긴급복지대상자: 70만 원 지급
✔ 등록 여성 장애인: 100만 원 지급
❓ 어디서 신청하나요?
✔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
📌 6. 생애 초기 건강관리사업
❓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✔ 보건소에 등록한 임산부 및 2세 미만 영아 가정
❓ 어떤 혜택이 있나요?
✔ 간호사·사회복지사 방문 건강 상담 및 양육 교육 제공
✔ 산모 우울증 예방 및 심리·사회적 지원
❓ 어디서 신청하나요?
✔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
📌 7. 출산 지원시설 제공
❓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✔ 이혼·사별·미혼모·부 및 3세 미만 한부모 가족
❓ 어떤 혜택이 있나요?
✔ 숙식 무료 제공, 분만 혜택, 의료비 지원, 자립 지원
❓ 어디서 신청하나요?
✔ 지자체 or 가족 상담전화(☎1577-4206) 문의
📌 8. 첫만남이용권 (국민행복카드)
❓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✔ 출생신고된 아동 (출생 후 2년 이내 신청 가능)
❓ 어떤 혜택이 있나요?
✔ 출생아 1인당 200만 원 지급 (둘째부터 300만 원 지급)
✔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제공
❓ 어디서 신청하나요?
✔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or 보건소 방문 신청
임신과 출산은 많은 변화와 준비가 필요한 과정이지만, 정부 지원을 잘 활용하면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보다 건강하게 출산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.
✔ 혹시 본인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치고 있진 않은지 꼭 확인하세요!
✔ 궁금한 사항은 보건복지 상담센터(☎129)로 문의하세요.
🤰🏻👶 임산부와 아기 모두 건강하고 행복한 출산을 기원합니다!
출처:여성가족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