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💸 2025 청년도약계좌 3월 신청 시작! 조건부터 혜택까지 총정리

by 교진엄 2025. 3. 31.
반응형

 

💸 2025 청년도약계좌 3월 신청 시작! 조건부터 혜택까지 총정리

청년 목돈 마련, 어떻게 준비하고 계신가요?
정부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‘청년도약계좌’가 2025년부터 더 강력해졌습니다.
지원 금액도 늘어나고, 조건도 유연해져서 이제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부지원 저축상품이 됐죠.

 

특히 3월부터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시작되면서,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데요.
신청 기간, 자격 조건, 정부 지원금 혜택,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!


✅ 청년도약계좌란?

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
정부와 은행이 함께 지원금을 더해주는 5년 만기 장기저축제도입니다.

  • ✔ 5년간 꾸준히 납입하면 정부 기여금 + 은행 이자 + 비과세 혜택
  • ✔ 일반 적금보다 훨씬 높은 수익률 기대 가능

📌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

조건 항목 자격 기준
나이 계좌 개설일 기준 만 19세 ~ 34세 이하
개인 소득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, 종합소득과세표준 6,300만 원 이하
가구 소득 가구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 (본인 등본 기준 가족 포함)

※ 단, 군인 급여, 육아휴직 수당 등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됩니다.

 

✅ 기준 중위소득 250% (2025년 기준, 연소득)

가구원수 기준 중위소득 250% (연)
1인 가구 62,336,760원
2인 가구 103,684,650원
3인 가구 133,044,480원
4인 가구 162,028,920원
5인 가구 189,920,640원
6인 가구 216,839,430원
7인 가구 243,225,450원

 

📌 TIP: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에는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※ 기준 초과 시 정부 기여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니, 사전 소득 확인은 필수입니다.

 

🚀 2025년부터 달라진 점은?

📌 정부 기여금 확대

  • 소득구간에 따라 기여금 상향 조정
  • 저소득층 청년일수록 더 큰 혜택

✅ 2024 vs 2025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비교표

개인소득 (연소득, 총급여) 2024년 월 최대 기여금 2025년 월 최대 기여금  증가액
2,400만 원 이하 24,000원 33,000원 +9,000원
2,400만 원 초과 ~ 3,600만 원 이하 23,000원 29,000원 +6,000원
3,600만 원 초과 ~ 4,800만 원 이하 22,000원 25,000원 +3,000원
4,800만 원 초과 ~ 6,000만 원 이하 21,000원 21,000원 변동 없음

 

📌 TIP: 연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지원 기여금이 더 많이 늘어났습니다. 특히 2,400만 원 이하 구간은 월 9,000원이 인상되어 연간 108,000원의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!

 

📌 3년 유지 시 일부 혜택 보장

  • 5년 만기 전 중도해지해도 3년 이상 유지 시:
    • 비과세 혜택 유지
    • 정부 기여금의 60% 수령 가능

📌 성실 납입 시 신용점수 가점

  • 2년 이상, 총 800만 원 이상 납입 시
  • KCB, NICE 기준 5~10점 가점 적용

📌 부분 인출 기능 추가 (NEW)

  • 2년 이상 유지 시, 납입원금의 40% 이내 인출 가능
  • 갑작스런 지출에도 유연하게 대처 가능

🗓 2025년 3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

신청 대상 신청 기간
일반 신청자 3월 3일 ~ 3월 14일
1인 가구 3월 20일 ~ 4월 14일
2인 이상 가구 4월 4일 ~ 4월 14일

 

신청 방법:
각 은행 모바일 앱

 

→ 서민금융진흥원 심사 → 계좌 개설

 

우리은행 가입하기>>>

국민은행 영업점 예약하기>>>

신한은행 가입하기>>>

농협은행 가입하기>>>

기업은행 가입하기>>>

하나은행 가입하기>>>

 

청년도약계좌 오픈채팅방 1청년도약계좌 오픈채팅방 2청년도약계좌 오픈채팅방 3청년도약계좌 오픈채팅방 4

 


⚠ 꼭 확인해야 할 주의사항

  • 5년 유지가 원칙!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이 줄어듭니다.
  • 은행마다 금리가 다르므로 비교 필수
  • 소득 기준 확인 후 신청 (기여금 차등 지급되므로 중요!)
  • 부분 인출은 원금 40%까지 가능, 단 2년 이상 유지 조건 있음

💬 이런 분들께 청년도약계좌 추천!

  • ✔ 장기적으로 목돈을 모으고 싶은 청년
  • ✔ 정부 지원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은 분
  • ✔ 꾸준한 저축과 함께 신용점수까지 챙기고 싶은 분

✅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

  • 📅 신청기간: 3월 3일 ~ 14일 (대상별 일정 상이)
  • 💸 정부 기여금 최대 상향 조정
  • 🧾 5년 유지 시 고수익 + 비과세 혜택
  • 🔐 3년 이상 유지 시 일부 혜택 보장 가능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