🏥 지역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와 과세표준 계산하는 법
안녕하세요
직장에 다니다가 퇴사하거나 프리랜서로 전환하면 ‘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’라는 낯선 시스템을 마주하게 되죠.
특히 계산 방식이 복잡하다는 인식이 많아 문의도 많은데요.
📌 오늘은 2024년 기준 지역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,
그리고 재산 과세표준 계산법까지 정확하고 쉽게 정리해드릴게요!
건강보험료 직장가입자 vs 지역가입자 차이, 지역가입자 보험료가 더 비싼 이유? 피부양자 등록
건강보험료 직장가입자 vs 지역가입자 차이, 지역가입자 보험료가 더 비싼 이유는?퇴사 후 처음으로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전환을 경험하신 분들이라면, 보험료가 예상보다 훨씬 비싸게
gaofriends.com
✅ 지역 건강보험료 계산, 무엇이 기준일까?
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는 두 가지 기준으로 산정됩니다.
- 소득 (가구 구성원 전체 합산)
- 재산 (부동산, 전월세 등)
✔️ 여기서 주의!
금융자산(예: 예금, 주식)은 재산이 아니라 ‘소득’으로 계산됩니다.
그리고 자동차는 2024년부터 보험료 산정에서 제외됐습니다!
📌 지역건강보험료 계산의 핵심 포인트
1. 소득 = 가구원 전체의 소득 합산
- 직장가입자: 본인 소득만 기준
- 지역가입자: 세대주 + 가구원 전부의 소득 합산
- 포함 항목: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이자소득, 연금소득 등
💬 자녀가 아르바이트해도, 직장가입자가 아니면 건보료에 반영된다는 점!
2. 재산 = 부동산만 포함 (금융자산, 자동차 제외)
- 포함 항목: 주택, 상가, 건물, 토지, 전월세 보증금, 선박, 항공기 등
- 제외 항목: 예금, 적금, 주식 등 금융자산
→ 이는 소득으로 계산, 재산 아님! - 자동차: 2024년 2월부로 산정 항목에서 폐지
💡 요약: 금융자산은 재산 X, 소득 O
✔체크 포인트산정기준표란?항목별 부과점수로 만들어진 표를 말하는데, 정부의 다양한 정책에서 각종 값을 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 (예: 재산산정기준표) |
🧾 지역 건강보험료 재산보험료 계산법
2024년 기준, 다음 순서로 재산보험료를 계산합니다.
① 과세표준금액 기준
- 전년도 6월 1일 기준의 ‘재산세 과세표준금액’ 사용
- 공시가격의 60% 수준이 보통 과세표준액입니다.
② 재산 점수 산출
- 과세표준 총액에서 1억 원 공제
- 남은 금액을 기준으로 60등급 점수표에서 점수를 찾음
③ 재산보험료 산정 공식
재산보험료 = (재산점수) × 208.4원
✅ 예시:
- 과세표준 1억 5천만 원 → 1억 공제 후 5천만 원
- 점수표에서 점수 확인 → 예: 300점
- 재산보험료 = 300점 × 208.4원 = 62,520원
🏠 전월세 평가도 포함되나요?
네! 전월세도 다음 방식으로 재산에 포함됩니다.
[보증금 + (월세 × 40)] × 30% = 전월세 평가금액
전세·월세 세입자도 재산으로 일정 부분 산정된다는 점, 꼭 기억하세요.
📉 2024년 자동차 항목 완전 삭제!
그동안 논란 많았던 자동차에 대한 보험료 산정,
2024년 2월부터 완전히 폐지되었습니다!
✔️ 고가차는 몰라도 일반 승용차까지 반영됐던 과거,
이제는 더 이상 자동차로 인해 보험료가 오를 일은 없습니다.
✔체크 포인트지역건강보험료 산정은소득 + 재산 기준으로 계산되며, 재산의 경우 가구 전체의 부동산·전월세 등을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‘재산점수’를 매긴 뒤, 점수당 금액을 곱해 보험료를 산정합니다. 👉 금융자산과 자동차는 포함되지 않아요! |
🧮 간단 정리! 지역건강보험료 재산 산정 순서
- 주택/건물/토지/전월세 등 과세표준 확인
- 총합에서 1억 원 공제
- 점수표에서 점수 확인
- 점수 × 208.4원 = 재산보험료
📝 지역 건강보험료, 알고 보면 어렵지 않아요!
- 금융자산은 재산이 아니라 소득 기준!
- 자동차는 2024년부터 제외
- 전월세 포함 부동산 기준으로 재산 산정
- 가구원 전체의 소득이 합산되어 건보료 산정
지역가입자로 전환될 일이 생겼다면,
미리 과세표준 확인하고 합리적으로 보험료를 계산해보세요.
📌 자산 구성이 단순하지 않거나 1주택 이상 보유자라면
꼭! 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에 문의해 맞춤 안내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